본문 바로가기
경제 · 경영

문과 출신도 단박에 이해하는 손현덕의 구석구석 4차 산업혁명 탐구/ 매일경제신문사(매경출판)

by It works 2018. 3. 12.





 


당신은 ‘4차 산업혁명’을 설명할 수 있는가

2016년 클라우스 슈밥이 “제4차 산업혁명을 뒷받침하는 기술들이 모든 산업에 걸쳐 기업에 거대한 충격을 주고 있다”고 말한 지 2년이 지난 지금 어딜 가도 4차 산업혁명 얘기다. 관련 서적으로 가득한 서점이나 교육 현장, 전자제품 판매장과 품질인증코드를 도입한 마트 정육코너까지.

그런데 이걸 좀 쉽게, ‘이런 게 4차 산업혁명이야’라고 설명할 수 있는 사람 몇이나 될까. 지금 우리 주변의 산업에서 어떤 변화와 혁명이 일어나고 있는지 핵심을 짚어 이야기할 수 있는가? ‘빅데이터라고 하면 얼마나 커야 빅데이터냐’라고 묻는다면 대답할 수 있는가? 인간의 뇌를 닮은 인공지능은 도대체 어떤 것인지 설명할 수 있는가? 3D프린터로 모든 걸 프린팅할 수 있다고 주장하는 사람에게 한마디 반론이라도 제시할 수 있는가?

취준생, 직장인, 심지어 초등 교육에서조차 꾸준히 언급되는 중요 이슈인데도 제대로 알고 있는 사람은 몇 명 안 된다. 자칫 시대에 뒤떨어진 사람으로 낙인찍힐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부랴부랴 인터넷 검색을 해보지만 무슨 말인지 도통 모르겠다. 여전히 해소되지 않는 한 가지 의문. ‘4차 산업혁명이 도대체 뭔데?’ 『손현덕의 구석구석 4차 산업혁명 탐구』는 4차 산업혁명이 도대체 뭔지, 현장에서는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에 대해 누구라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풀어낸 책이다.


저 : 손현덕


한양대 경제학과를 졸업했다. 1988년 매일경제신문에 입사해 경제/금융 분야를 주로 취재했다. 2000년 워싱턴특파원으로 부임해 미국 대선, 9?11 테러, 이라크 전쟁 등 굵직한 사건들을 다뤘다. 귀임 후 노무현 전 대통령 시절 청와대를 출입했다. 유통경제/중소기업/국제/경제/정치/증권부장(여론독자부장 겸임) 역임 후 현재 산업부장으로 자리를 옮겼다.

1997년 외환위기 직전 한국경제의 위기를 예고하고 처방을 제시한 <매경-부즈앨런 보고서>프로젝트에 참여했다. 《부자 나라 가난한 나라》 등 경제정책, 증권, 보험 등의 분야에 다수의 저서가 있으며 역서로는 《마스터링 매니지먼트》, 《네이비 실 리더십의 비밀》이 있다. 현재 매일경제신문 ‘매경포럼’ 코너에 정기적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1부 4차산업혁명이 도대체 뭐기에
페이스북과 구글을 움직이는 엔진
4차 산업혁명 정의부터
혁명은 서열을 바꾼다
세 번째 과학혁명, 그 주인공은?
백만장자, 억만장자, 조만장자
- 라스베이거스에서 본 4차산업혁명

2부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인공지능 얼마나 알고 있나?
인공지능, 축복인가 저주인가
인간의 뇌 vs. 인공지능
- 알파고가 알려준 인간의 한계
데이터를 만드는 자, 세계를 지배한다
빅데이터가 프라이버시와 충돌할 때
데이터가 크다고 빅데이터인가
- GfK란 빅데이터 기업이 있다고?

3부 사물인터넷과 반도체
4차산업혁명의 척수, 사물인터넷
사물인터넷이 만드는 무시무시한 세상
- 젖소의 인공수정에도 사물인터넷이 활용된다
반도체는 살아있다
메모리와 비메모리의 대결
엔비디아의 화려한 등장
인간의 뇌를 닮아가는 NPU

4부 자율주행차, 5G, 로봇, 3D프린팅, 블록체인…
사람이 자동차를 운전하는 것이 불법인 시대가 온다?
4차 산업혁명의 종합선물세트, 자율주행차
4차 산업혁명의 고속도로
사활 건 5G 표준기술 전쟁
사람을 꼭 닮은 로봇을 만들 수는 없나
- 집 안에 연예인 AI 로봇이 돌아다니는 세상
세상 모든 것을 인쇄하라! 3D 프린팅
- 3D프린팅으로 간을 인쇄한다?
블록체인이 꿈꾸는 황당한 미래
- 비트코인 해킹사건, 블록체인이 뚫렸다?
눈과 귀를 속이는 VR과 AR

5부 천재들의 엉뚱한 생각
레이 커즈와일, 천재에 대한 경외감
인간은 죽지 않는다
괴짜가 따로 없다! 테슬라의 일론 머스크
자크 아탈리와 짐 로저스 생각의 파격
- 실리콘밸리의 인재 영입 전쟁
4차 산업혁명 시대의 교육과 대치동 엄마들
애리조나대학의 교육
이상한 나라 앨리스와 붉은 여왕의 효과
- 4차 산업혁명, 세 개의 화살

6부 플랫폼 기업들이 판치는 세상
구글의 세상
유통 괴물, 아마존
아마존 1492와 애들레이드
망한 회사의 간판을 떼지 않는 페이스북
- 충돌을 장려하는 카카오의 조직문화
플랫폼 최고수가 본 플랫폼 비즈니스
4차 산업혁명 천재경제학자, 수전 애시 인터뷰

그런데 좀 이상하다는 생각이 들지 않습니까? 첫 번째, “그동안에는 데이터가 없었느냐? 기업들이 데이터 가지고 경영했지, 주먹구구로 경영했느냐”는 겁니다. “고객관리, 인사관리도 다 데이터베이스로 했는데 새삼스럽게 무슨 데이터가 중요하다고 말하느냐”는 거지요. 두 번째, “빅데이터라고 하면 그 전에는 스몰데이터였느냐? 빅과 스몰을 구별하는 기준은 뭐냐” 이런 의문이 들지 않습니까? 일리 있는 질문이나 대답은 별로 신통치 않습니다. 과거에도 데이터는 있었는데 기업들이 비즈니스를 하는데 크게 활용되지 못했고, 그런 의미에서 과거는 스몰데이터라고도 할 수 있습니다.
Part 2.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82.p)

그래서 사물인터넷이라 하면 그거 RFID 아니냐, 우리 주변에 흔히 볼 수 있는 것 아니냐는 사람들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속도로 톨게이트에 설치된 하이패스를 볼까요. 이건 톨게이트에 센서가 있어 톨게이트를 통과하는 차량들의 라벨을 읽습니다. 그게 RFID 방식인데 그런 게 사물인터넷 아니고 뭐냐는 거지요. 사물에 센서를 부착하고 실시간으로 서로 소통하지 않느냐는 것입니다. 내 차가 톨게이트를 지나갔는데 톨게이트 요금이 3,000원이면 잔고에서 3,000원이 빠지고 도로공사가 관리하는 서버에 그 정보가 저장됩니다. 맞습니다. 그런데 그 정보는 도로공사가 관리하는 특별한 망에 의해서만 관리됩니다. 그런데 이게 인터넷으로 연결된다면 얘기가 다릅니다. 그러면 일본 도로공사와도 연결이 가능합니다. 내 차를 일본으로 가져가 일본에서 고속도로를 달리면 똑같이 쓸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Part 3. 사물인터넷과 반도체 (123p)

무인자동차는 단지 사람이 차를 몰지 않는 세상이 도래한다는 것만을 의미하지는 않습니다. 무인자동차 시대가 되면 전 세계에 자동차 수가 크게 감소할 것입니다. 자동차가 소유가 아니라 공유의 개념으로 바뀔 게 분명합니다. 굳이 내가 운전하지도 않는데 차를 소유할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하면 차를 불러 사용하면 되니까요. 토머스 프레이는 “현재 계산으로는 무인자동차 1대가 자동차 30대의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합니다. 자동차 대수가 30분의 1로 줄어들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러나 그건 아주 극단적인 경우를 가정하는 것이고 이와 관련된 예상은 6분의 1로 줄어든다는 예측에 대부분 전문가들이 고개를 끄덕입니다.
Part 4. 자율주행차, 5G, 로봇, 3D프린팅, 블록체인…(165p)

그는 TED 강연이 있기 4일 전 SNS에 할리우드 스타인 앰버 허드와 데이트하는 사진을 올렸습니다. 새빨간 립스틱의 앰버 허드가 묘한 표정을 지은 채 왼팔을 일론 머스크의 어깨에 걸치고 다른 곳을 쳐다보는 일론 머스크의 오른쪽 뺨엔 립스틱 자국이 선명한 사진. 그는 회사 내에선 폭군입니다. 철자가 틀린 이메일을 보낸 직원을 해고한 일화, 휴일을 가족과 보내겠다고 하면 테슬라가 망하면 원 없이 그렇게 하게 될 것이라고 핀잔 준 사례는 너무나 유명합니다. 회사 경영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고 항의하는 투자자에겐 “그러면 포드나 사라”고 쏘아붙이는 괴짜입니다. 대한민국에서 사업을 했다면 벌써 구설수에 휘말려 쫓겨났거나 쇠고랑을 찼을 것입니다.
Part 5. 천재들의 엉뚱한 생각(252p)

지난 2017년 여름, 미국 실리콘밸리에 출장 갔을 때 현지에서 벤처기업가와 투자자들을 여러 명 만났는데 가장 많이 나오는 질문이 하나 있었습니다. “구글, 페이스북, 아마존, 애플, 이 중 누가 글로벌 경쟁에서 승자가 될까” 마치 초등학교 때 “우주소년 아톰과 마징가Z가 싸우면 누가 이길
까”와 같은 유치한 질문처럼 들려 실소를 금치 못했습니다. 그 질문이 과연 유치할까요? 실리콘밸리에서는 이보다 진지하고 핵심적인 질문은 없습니다. 그건 미래에 대한 통찰을 묻는 질문이고,
플랫폼 비즈니스의 전략을 파고드는 질문이기 때문입니다.
Part 6. 플랫폼 기업들이 판치는 세상(290p)
     ---본문 중에서

‘문송합니다’는 더 이상 그만
4차 산업혁명 시대를 살기 위한 최소한의 지식

4차 산업혁명이라고 말들은 많이 하는데 삼성이 4차 산업혁명과 관련돼 단 한 가지 일에 집중한다면 그것은 무엇일까? 다름 아닌 빅데이터다. 그런데 이게 나와 무슨 연관이 있을까?

우리는 4차 산업혁명을 먼 미래 이야기라고 생각한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기술을 따라가기도 벅찬데 미래를 어떻게 준비해야 할지에 대해 생각할 여력이 있을 리가 없다. 모두가 마크 저커버그, 일론 머스크처럼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수 없고 또 그렇게 될 필요도 없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3D프린팅, 5G, 자율주행차, 블록체인과 같은 첨단기술이 정확히 무엇인지 알고 이를 내 삶에 적용하면 된다.

『손현덕의 구석구석 4차 산업혁명 탐구』는 이러한 고민에서 출발한다. 페이스북, 구글, 아마존과 같은 플랫폼 기업들의 4차 산업혁명 행보와 이들이 단기적인 이익에 관심 없는 이유, 대한민국이 4차 산업혁명 후발주자임에도 가능성 있는 이유,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의 발전으로 달라진 일상생활 등 쉽고 흥미로운 이야기를 담았다. 또한 〈매일경제〉 경제, 정치, 국제, 산업부장 등을 거쳐 현재 논설실장인 저자가 기술 혁신의 최전선을 방문하고 전문가들을 만난 이야기가 책 속에 녹아 있어 생생한 현장감을 느낄 수 있다. 눈앞에 전개되고 있지만 추상적이었던 4차 산업혁명 시대. 그 속에서 우리는 무엇에 집중해야 하는지 앞으로의 미래 성장 동력을 어디서 발견할 수 있을지를 안내해준다.

이 책은 총 6개의 파트로 구성된다. PART1은 4차 산업혁명의 정의, PART2와 3은 4차 산업혁명의 핵심 기술인 인공지능, 빅데이터, 사물인터넷, 반도체를 다뤘다. PART4는 자율주행차, 5G, 로봇, 3D프린팅, 블록체인 등이 산업 현장에서 어떻게 작동되는지를 이야기한다. PART5와 6은 기술 혁신의 최전선인 테슬라, 구글 등의 플랫폼 기업과 실리콘밸리의 사례, 관련 전문가들의 의견을 담았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