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 전문가가 쉽게 풀어주는
건설과 주택시장의 어제와 오늘
한국 경제의 큰 축, 건설업을 들여다보다!
주택시장의 미래는 어떤 모습일까?
건설업의 미래를 위한 키워드 ‘신뢰회복!’
대중에게 건설업은 어떤 이미지로 각인되고 있을까? 건설산업은 한국 경제 발전의 핵심 토대를 이루며, 성장을 견인하는 역할을 충실히 해왔다. 특히 1950년대 한국전쟁으로 폐허가 된 우리나라는 각종 기반시설의 구축, 주택 등을 비롯한 수많은 건축물의 건설을 통해 양적, 질적 성과를 이룩했다. 우리나라를 지금의 선진국 반열에 올려놓은 원동력의 중심에는 과거 건설산업이 있었다.
하지만 건설산업은 낮은 생산성과 수익성, 그리고 시대의 변화에 따르지 못하는 업계 관행 등으로 점차 국가 산업에서 점점 경쟁력을 잃어갔다. 특히 3D업종, 부실공사, 부정부패, 환경파괴, 담합, 폭리 등 일반 대중이 생각하는 건설업에 대한 부정적인 이미지는 건설산업이 성장하고 미래를 설계하는 데에 큰 걸림돌이 되고 있다. 건설업에 대한 부정적 이미지는 그저 인식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산업현장에서는 일자리 기피 현상으로도 나타나고 있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의 저자는 우리나라 건설업이 걸어온 발자취를 들여다보며, 한국 경제에서 건설산업이 얼마나 큰 비중을 차지하고 또 국가 경제에 얼마만큼의 기여를 했는지 자세히 설명해준다. 전성기 건설업의 모습만을 조명하는 것은 아니다. 건설업이 경쟁력을 잃었던 원인 그리고 건설업의 어두운 면을 살펴봄으로써, 국가 경제의 큰 비중을 차지하는 건설업의 현재를 진단하고 더 나은 내일을 준비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저자는 건설업의 미래를 위해서는 신뢰회복이 가장 우선이라고 주장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인한 일상화된 저성장 시대에 건설업에 대한 국민적 신뢰가 쌓이지 않으면 건설업은 미래 환경변화에 대응할 동력을 잃어버릴 수 있다는 진단이다. 또 신뢰할 수 없는 산업이라는 부정적 인식으로 우수한 인재와 젊은 층의 건설업에 대한 외면은 지속가능한 성장은커녕 산업의 생존 자체가 위협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저자는 안전한 건설, 공정한 건설, 혁신적 건설이라는 키워드로 건설업이 새로운 모습으로 거듭나야 함을 강조한다.
주택시장, 영원히 풀리지 않는 문제?
주택가격 상승에 대한 뉴스를 접하는 사람들에게 두 가지 표정을 읽을 수 있다. 누군가는 치솟는 주택가격에 미소를 짓고, 또 누군가의 얼굴에는 짙은 그림자가 드리워진다. 상반된 표정의 두 주인공은 전자는 주택을 하나라도 보유한 사람들이고, 후자는 전세나 월세를 사는 임차인이다. 서로 다른 입장은 같은 뉴스도 다르게 느껴지게 하고, 다른 표정으로 주택가격의 의미를 되새기게 한다. 그리고 주택 보유자라고 해서 다 같은 주택 보유자도 아니다. 강남에 사는 사람과 지방에 사는 사람의 분위기는 다를 수밖에 없다.
이렇듯 주택가격의 등락은 입장에 따라 희비를 엇갈리게 한다. 자본소득이 증가하면 누군가는 큰 부를 축적할 수 있는 반면, 아무것도 하지 않았는데 집값이 오르면서 상대적 박탈감으로 위축된 사람들도 많아졌다.
주택가격 문제는 이제 개별시장의 문제를 넘어섰다. 주택시장이 널뛰면서 세대갈등, 계층갈등, 부의 갈등 등 수많은 사회적 갈등으로 번지고 있는 것이다. 수많은 이해관계가 얽혀있다 보니, 주택시장 문제는 좀처럼 풀리지 않는 문제로 인식되고 있고, 뾰족한 해법을 제시하기도 쉽지 않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은 건설업과 뗄 수 없는 관계를 가진 주택시장의 모습을 대중이 이해하기 쉬운 경제적 관점으로 바라본다. 현대의 주택문제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고 각 시기별로 어떤 대안을 마련해왔는지, 그리고 각종 부동산 규제 정책이 갖는 장점과 단점, 부동산 문제의 해결책이라고 인식되는 대량공급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를 과거 우리가 경험했던 사례를 바탕으로 쉽게 풀어낸다.
변화의 물결, 건설업의 미래
4차 산업혁명 시대 수많은 기술적 변화 속에 건설업도 이전에 없었던 다양한 시도들이 나타나고 있다. 다른 분야보다는 느리지만 모듈러 건축, 콘테크 기업의 등장 등 건설업에도 4차 산업혁명 관련 기술들이 개발되고 적용되고 있으며 이는 최근 건설업계는 새로운 변화를 촉진하고 있다.
그리고 최근 우리 사회의 최대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ESG가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확산하고 있다. 물론 ESG와 관련한 다양한 규제와 정책이 강화되고 있는 것도 확산의 이유가 있지만, 투자자의 ESG에 대한 요구도 커지고 있기에 건설산업도 이 같은 시대적 변화를 맞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명확한 한계도 있다. 건설업의 98%가 중소건설업체이기 때문에 ESG에 대한 마땅한 준비가 없는 상황이다. 저자는 일부 대기업을 제외하면 독자적인 ESG 경영 역량이 부족한 중소건설업체를 위해 맞춤형 기준 정립 등이 필요하다는 점을 강조한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은 건설과 주택시장의 과거와 현재를 통해 미래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공간을 떠나 살 수 없는 인간에게 가장 친숙해야 할 대상이 건축물이고, 그 건축물을 다루는 분야가 건설업이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은 국가 경제의 큰 축을 담당하며 우리의 삶과 가장 밀접한 공간을 만들어주는 건설업을 가장 쉽고 명확하게 그려내고 있다.


프롤로그
PART 1 우리는 건설업을 얼마나 알고 있을까?
1장 건설업 쉽게 이해하기
2장 우리나라 건설산업의 전성시대
3장 우리 건설업, 경쟁력 회복이 관건
PART 2 경제원리로 이해하는 건설시장
4장 건설업도 결국 사람이 하는 일
5장 튼튼한 건축물, 비결은 좋은 자재와 장비
6장 과열이 부른 위기, 기회로 극복하다
7장 유동성과 물가, 건설업은 오르막? 내리막?
8장 위험부담을 줄여주는 든든한 건설금융
9장 건설, 투자가치를 따져보자
PART 3 떼려야 뗄 수 없는 건설과 주택시장
10장 주택, 예나 지금이나 모두의 관심사
11장 주택가격, 좀처럼 풀리지 않는 문제
12장 주택공급은 시장을 안정시킬까?
13장 사라지는 도시, 늙어가는 주택
PART 4 건설, 그리고 미래
14장 건설업의 미래, 신뢰회복이 우선
15장 건설업계에 부는 변화의 바람
16장 건설업이 만들어낼 미래 모습
참고문헌

이미지 설명을 입력해주세요.
∎ 저자 : 대한건설정책연구원(RICON)
건설분야 연구, 건설업의 육성 발전 및 기술 향상, 전문건설업의 경쟁력 제고, 국가경제 발전에 공헌 등을 목적으로 2006년에 설립되었다. RICON은 건설산업의 싱크탱크로 정부의 건설정책, 기업의 경영전략, 미래 기술분야에서 건설산업 발전을 위한 수많은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 향후 스마트시대, 융·복합 생산, 시장구조 혁신과 같은 환경 변화에 대응하여 건설 산업 경쟁력을 높일 수 있는 전략과 정책대안 마련을 비전으로 삼고 있다.
저자 : 박선구
한양대학교에서 경제학을 전공하고 동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대한건설정책연구원 경제금융실장으로 일하고 있으며 건설경제, 건설보증, 생산요소 등 다양한 영역의 연구실적을 가지고 있다. 한양대학교 대학원에서 부동산과 경제학 관련 과목을 가르치고 있다.
권주안
한국외국어대학교 경제학과를 졸업하고 미국 미시간주립대학교에서 경제학 박사 학위를 받은 후 주택산업연구원에서 주택과 부동산연구를 시작했다. 주택산업연구원 원장을 역임했으며, 현재는 대한건설정책연구원에서 초빙연구위원으로 재직하고 있다.


추천의 글
우리나라에서 건설업에 대한 인식은 대체로 부정적이다. 현대 한국 건설업의 역사가 시작된 이후 각종 안전사고는 끊이지 않았고 수많은 부정한 관례가 지속되어온 탓이다. 이 책은 건설과 주택 시장에 대한 대중의 이해를 돕기 위해 쓰였지만, 현재 우리가 안고 있는 다양한 문제점도 보여준다. 건설업이 대중의 관심에서 멀어지면 문제는 여전히 풀리지 않는 숙제가 된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은 우리에게 과거부터 누적된 밀린 숙제를 보여주며, 대중이 관심을 가지길 진정으로 바라고 있는 듯하다. 건설업의 건강한 미래를 위한 대중 교양 필독서가 되기에 충분하다.
_강호인 전 국토교통부 장관
한 치 앞을 내다보기 어려울 정도로 건설과 주택시장 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이런 시기에 시장을 제대로 이해할 수 있는 책이 나와 반갑다. 건설업은 과거에 비해 그 비중이 줄어들었으나, 여전히 우리나라 경제의 중요 산업으로 그 중심에 있다. 건설시장이 걸어온 길부터 안고 있는 문제점, 미래 비전까지 다양한 논의가 균형 있게 녹아들었다. 특히, 경제적 관점에서 시장을 바라보았다는 측면이 흥미롭다. 건설과 주택시장을 한눈에 파악하기에 손색이 없어, 이 분야를 조금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입문서로서 추천한다.
_윤학수 대한전문건설협회 중앙회 회장
스마트(smart)는 현실세계에서 더 이상 낯선 단어는 아니다. 특히 신기술이 필요한 곳에서 스마트라는 단어를 제외하면 그 무엇도 설명할 수 없는 것이 오늘날의 엄연한 현실이다. 건설과 주택시장에도 스마트 디지털이라는 4차 산업혁명의 바람이 불고 있다. 건설은 인간의 삶, 특히 주거와 불가분의 관계를 갖는다. 대중이 건설과 주택분야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면, 우리가 사는 공간의 변화를 더욱더 친근한 마음으로 체감할 수 있을 것이다. 《이코노컨스트럭션》은 건설이 걸어온 길과 앞으로 걸어갈 길을 보여줌으로써 우리 생활공간에 대한 이해를 넓히는 데 큰 기여를 한 흥미로운 책임이 틀림없다.
_임덕호 전 한양대학교 총장


'증권 · 부동산 · 재테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성공 부동산 중개사무소 창업 (0) | 2021.12.11 |
---|---|
신방수 세무사의 확 바뀐 상가 빌딩 절세 가이드북 (0) | 2021.12.04 |
닥치고 현장 소액자본으로 부동산 부자되기 (0) | 2021.11.19 |
신방수 세무사의 부동산 증여에 관한 모든 것 (0) | 2021.11.19 |
부동산 슈퍼리치만 아는 투자 비밀 (0) | 2021.10.17 |
댓글